시뮬레이션 문제란 무엇일까요?
시뮬레이션 문제는 실제 상황이나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코드를 통해 재현하는 문제 유형입니다. 즉, 문제에서 제시된 조건과 규칙에 따라 코드를 작성하여 컴퓨터上で 상황을 모방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핵심 특징:
- 알고리즘보다는 구현력: 특정 알고리즘보다는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코드로 구현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논리적 사고력: 문제 상황을 분석하고, 논리적으로 코드를 구성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 꼼꼼함: 디테일한 부분까지 꼼꼼하게 코드를 작성해야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예시:
- 주식 시장 시뮬레이션: 주식 가격 변동, 매매 전략 등을 고려하여 수익률을 계산하는 프로그램 작성
- 자동 계산기: 사칙연산, 삼각함수 계산 등 다양한 계산 기능을 가진 계산기 프로그램 작성
- 교통 신호등 시뮬레이션: 차량 통행량, 보행자 신호 등을 고려하여 신호등 작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작성
시뮬레이션 문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실무 적용 가능성: 실제 상황을 모델링하기 때문에 실무에 활용 가능한 프로그래밍 기술을 익힐 수 있습니다.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다양한 상황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논리적 사고력 강화: 논리적으로 코드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어려움도 존재합니다.
- 높은 디테일 요구: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꼼꼼하고 세밀한 코드 작성이 필요합니다.
- 디버깅 어려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했을 때 디버깅 과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알고리즘 지식 부족: 일부 시뮬레이션 문제는 알고리즘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문제는 알고리즘 문제만큼 깊은 이해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코드를 구성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또한, 디버깅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시뮬레이션 문제를 효과적으로 풀기 위한 팁:
- 문제 상황을 명확하게 이해: 문제에서 제시된 조건과 규칙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 단계별로 코드 작성: 전체 코드를 한 번에 작성하기보다는 단계별로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테스트 케이스 작성: 다양한 입력값을 사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코드를 검증해야 합니다.
- 디버깅 능력 향상: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했을 때 디버깅 도구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시뮬레이션 문제는 프로그래밍 실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방법입니다. 위 팁을 참고하여 시뮬레이션 문제를 꾸준히 풀고 연습해봅시다.
완전탐색(Brute Force)
브루트포스(완전탐색)
완전탐색이란 무엇인가요?
💡완전탐색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에요. 모든 가능한 해를 조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가장 단순하지만 때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어요.
보통 최적화 문제나 결정 문제에서 사용되며, 가능한 모든 해를 시도해 본 후, 그 중 가장 적절한 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요.

(모든 경우의 수 탐색 애니메이션, Solving the TSP with 360 iterations to get a minimum of 249)
완전탐색의 특징
💡해결 가능한 모든 방법을 시도해야 하는 경우: 문제의 조건이 복잡하거나, 최적의 해를 찾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검토해야 할 때 사용돼요.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항상 최적의 해(해답)를 찾을 수 있지만 경우의 수가 매우 많은 경우 시간과 메모리의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그런 경우, 다른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해요.
📙 BFS와 DFS로도 완전탐색을 할 수 있어요!
완전탐색 예제
- 문제 설명: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적힌 카드가 있습니다. 이 중 3장의 카드를 뽑아서 합이 15가 되는 경우를 모두 찾는 문제입니다.
- 핵심 : 조합으로 풀기
- 문제 풀이: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적힌 카드 중 3장을 뽑는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합니다.
뽑은 3장의 카드의 합이 15가 되는지 확인합니다.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출력합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cards = {1, 2, 3, 4, 5, 6, 7, 8, 9};
List<int[]> result = findCombinations(cards);
System.out.println("합이 15가 되는 3장의 카드 조합:");
for (int[] combo : result) {
System.out.print("[");
for (int num : combo) {
System.out.print(num + " ");
}
System.out.println("]");
}
}
public static List<int[]> findCombinations(int[] cards) {
List<int[]> result = new ArrayList<>();
// 3장의 카드를 뽑는 모든 조합을 탐색
for (int i = 0; i < cards.length - 2; i++) {
for (int j = i + 1; j < cards.length - 1; j++) {
for (int k = j + 1; k < cards.length; k++) {
if (cards[i] + cards[j] + cards[k] == 15) {
result.add(new int[] {cards[i], cards[j], cards[k]});
}
}
}
}
return result;
}
}
02. 관련 추천 문제
https://www.acmicpc.net/workbook/view/8708
https://www.acmicpc.net/workbook/view/1152
03. 연습문제 - BOJ14889 - 스타트와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4889
04. 연습문제 - BOJ2468 - 안전영역
'여러가지 > 알고리즘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타임머신 - 1440번 (1) | 2024.06.12 |
---|---|
[백준] 블랙잭 - 2798번 (0) | 2024.06.12 |
[백준] 신기한 소수 찾기 - 2023번 (1) | 2024.06.10 |
[백준] 나이트의 이동 - 7562번 (1) | 2024.06.10 |
[백준] 열 개씩 끊어 출력하기 - 11721번 (0) | 2024.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