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이것저것

단방향 암호화

hyeseong-dev 2024. 3. 21. 03:31

단방향 암호화(One-way encryption)는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입니다. 이 암호화 방식의 핵심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호화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단방향 암호화는 주로 데이터 무결성 검증, 안전한 비밀번호 저장 등에 사용됩니다.

단방향 암호화의 주요 특징

  • 불가역성(Irreversibility): 단방향 암호화로 처리된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로 되돌릴 수 없습니다. 즉, 해시 함수는 복호화 키 없이 원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도록 합니다.
  • 고유성(Uniqueness):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항상 동일한 출력값(해시)을 생성합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입력값에서 같은 출력값을 얻는 경우를 해시 충돌(Hash Collision)이라고 하며, 이는 매우 드물게 발생해야 합니다.
  • 속도: 대부분의 해시 알고리즘은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지고 있어,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적합합니다.
  •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해시값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원본 데이터에 아주 작은 변경이 생겨도 해시값은 크게 달라지므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사용 예

  • 비밀번호 저장: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해시 함수를 통해 암호화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됩니다. 로그인 시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같은 해시 함수로 처리하여 저장된 해시값과 비교합니다.
  • 데이터 무결성 검증: 소프트웨어 배포 시 제공되는 해시값을 통해 사용자는 다운로드한 파일이 수정되지 않았음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단방향 암호화 예시: 해시 함수 사용

Python에서 hashlib 모듈을 사용하여 단방향 암호화(해싱) 예시를 보여주겠습니다.

import hashlib

# 문자열 해싱
data = "Hello, World!"
hashed_data = hashlib.sha256(data.encode()).hexdigest()

print(f"Original: {data}")
print(f"Hashed: {hashed_data}")

이 예시에서는 SHA-256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자열 "Hello, World!"의 해시값을 생성합니다. 생성된 해시값은 원본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이 해시값으로부터 원본 데이터를 복구할 수는 없습니다.

단방향 암호화는 데이터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방법을 제공합니다.